<p></p><br /><br />계속해서 좀더 자세한 이야기, 하태원 국제부장과 분석해 봅니다. 키워드는 뭡니까? <br> <br><봄은 왔나> 라는 화두를 올려 보고 싶습니다. 남북이 오가며 펼치고 있는 화려한 공연이 꽃이라면 분명 한반도에 봄은 왔습니다. 하지만 한반도를 꽁꽁 얼어붙게 만든 핵문제 해결이 문제라면 봄이 오려면 한참 멀었습니다. <br><br>[질문] 우리 공연 제목 봄이 왔다도 아니고 '봄이 온다'였는데 한 발짝 더 나아가 ‘가을이 왔다’로 주제를 받아쳐버린 김정은, 어떻게 해석하십니까? <br><br>거침없는 행보를 보이는 김정은이 한반도 문제를 주도하겠다는 의중을 여과없이 반영한 발언으로 보입니다. 대북제재의 가장 약한 고리인 한국을 확실하게 끊어냈고, 다음 타깃인 중국 역시 전격적인 정상회담을 통해 손을 봐 둔 형국아닙니까? <br><br>4월 남북, 5월 북미, 6월 또는 7월 남북미 정상회담을 한 뒤 9월 경 다시 한번 남북정상회담을 하는 시나리오를 갖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><br>[질문] 북한은 봄이 왔다고 판단한 것 같은데 하 부장이 보시기에도 봄, 온 게 맞습니까? <br><br>지난 두 달간 한반도를 중심으로 벌어진 일들을 한번 보시겠습니다. 김여정이 특사로 청와대를 예방했고, 삼지연예술단의 공연이 있었고, 판문점의 남북을 오가며 많은 대화가 이뤄지고 있습니다. 내일은 남북합동 예술단 공연이 예정돼 있습니다. <br>외형적으로는 확실히 봄이 온 듯 하지만 남북이 실질적인 문제를 풀기위해 어떤 논의를 하고 있는지는 거의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] 미국측은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까? <br> <br>과거 레이건 대통령이 소련과의 핵협상과정에서 남긴 유명한 말이 있죠, 신뢰하지만 검증한다. 하지만 현재 분위기는 불신한다. 그래서 더욱 철저히 검증하겠다는 분위기입니다. 내퍼 미국대사대리입니다. <br><br>[마크 내퍼 주한 미국 대사대리 ]<br>우리의 협상 목적은 한반도의 '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핵폐기'이며 이 목표는 타협 불가능한 것입니다." <br><br>봄을 말하기에는 아직 멀었다는 얘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[질문] 표면적으로는 그런데.. 물밑에서는 대화가 계속 조율이 되고 있겠죠? <br><br>최근 남북대화의 특징은 '공식대화는 최대한 간결하게. 물밑대화는 지속적이고 치밀하게'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. 북한전문가죠. 김상균 국정원 차장은 최근 평양에 살다시피 하는 것 같구요, 문재인 대통령 복심인 윤건영 청와대 상황실장은 김정은과의 메신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[질문] 양측이 대화를 향해 막 달려나가고 있는데.. 이례적인 풍경은 또 있었습니다. 대남 강경파 김영철 통전부장이 우리 기자들을 찾아와 사과를 했다면서요? 어떻게 된 일입니까. <br><br>어제 밤 공연현장을 취재하러 간 한국 기자들의 취재를 방해한 것에 대해 사과한 것인데 그동안 보지 못했던 이례적인 장면이었습니다. 김정은의지시 없이는 이뤄지지 못했을 일이죠. <br><br>스스로를 '천안함 폭침 주범'이라고 소개한 것이 눈에 띕니다. 뉘앙스는 남한 보수세력이 그렇게 주장하지만 '나는 폭침의 주범이 아니요' 라고 발뺌하는 것처럼 보입니다. <br>사실 사과를 하려면 폭침에 대해 진솔한 사과를 했었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. <br><br>앵커. 하태원 국제부장이었습니다. <br>